#관광두레 #공모전 #청년관광 #트래블리그 #소도시여행
2021.2 관광벤처 Newsletter vol.31
중소벤처기업을 위한 정책동향-한국관광 데이터연구소 운영
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민간과 공공 부문의 관광활동 관련 거대자료를 수집·축적해 관광유형 분석을 제공하는 '한국관광 데이터연구소(랩,https://datalab.visitkorea.or.kr)'를 운영한다. 관광산업의 흐름을 체겨적으로 파악할 수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.
거대자료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관광산업 흐름 확인하세요
거대자료(빅데이터) 활용 관광유형 분석 서비스 '한국관광 데이터연구소' 운영
'한국관광 데이터연구소(랩)'는 이동통신,신용카드,길안내기(내비게이션)등 민간의 거대자료와 한국관광통계, 관광실태조사 등 공공의 거대자료를 일괄 수집·축적하고 이를 다양한 관광유형으로 융합 분석해 관광기업과 지자체 등 관광산업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관광산업의 흐름을 보여주는 서비스이다.
세부적으로 지역별 내외국인 방문객 수 및 관광이동 유형, 지역별 관광소비 유형등 시의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, 기초지차제별로 해당 지자체 방문객의 관광활동 유형과 거주지별 방문자 분포를 팍악할 수있는 '우리 지역 관광 상환판'을 제공한다. 한국관광통계 등 각종 통계자료, 국민여행실태조사 및 외래 관광객조사, 한국관광인지도 조사 등의 공공 거대자료도 함께 개방한다.
관광기업, 예비 창업자 등 민간에서는 '한국관광 데이터연구소(랩 )'에서 제공하는 국내외 관광객의 여행유형 분석 정보를 활용해 신규 사업을 창출하고 마케팅 방안을 고도화하는 등 사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. 지자체의경우에는 '우리 지역 관광 상황판'을 통해 지역 특화 관광 상품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적시의 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.
'한국관광 데이터연구소(랩)'는 누리집(https://datalab.visitkorea.or.kr)에서 회원가입 후 로그인을 하면 다양한 관광유형 분석 정보를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다.
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"그동안 관광기업, 지차체, 연구기관 등 관광산업 이해관계자들은 시의성 있는 관광활동 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"라며, "코로나19로 급변하는 관광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거대자료를 기반으로 관광 흐름을 체계적으로 분석해야 하는 만큼 '한국관광 데이터연구소(랩)'의 많은 이용을 부탁드린다"라고 밝혔다.
서비스명 | 제공 데이터 및 기능 |
---|---|
거대자료 활용 여행유형 분석 |
이동통신 데이터: 광역/기초지자체별 내·외국인 방문자 수 파악 신용카드 데이터: 광역지자체별 관광 지출금액 파악 내비게이션 데이터: 광역/기초지자체 단위 목적지 유형별 검색 횟수 파악 |
관광통계 |
한국관광통계: 방한 외래관광객(인바운드), 국민 해외관광객(아웃바운드), 관광수지 MICE 통계: MICE 규모/사업체 통계, 경제적 파급효과 계산기 세계적관광통계: UNWTO 국가별 인/아웃바운드 관광규모 등 |
관광 실태조사 |
국민여행조사: 내국인 국내/해외 여행 실태조사 외래관광객 조사: 외국인 방한 여행 실태조사 MICE 참가자 조사: 미팅/컨벤션/인센티브 참가자 실태조사 한국관광인지도조사: 국가별 한국관광 이미지 및 인지도/선호도 조사 관광객 불편신고 데이터 분석: 지역별/국가별 불편신고 유형 분석 |
우리지역 관광 상황판 |
우리지역 관광진단 및 관광활동유형/방문자 데이터 분석 우리지역 또는 관심지역 VS 타 지역 비교분석 |
국가별 관광시장 분석 |
22개 주요 국가별 관광시장 분석: 시장심화분석, 해외여행 및 방한여행 동향 등 |
관광현황 |
국내외 관광시장 동향, 통계공표자료, 뉴스레터/발간보고서/이슈리포트 공유 |
2.17, 문화체육관광부
관광기업지원센터 관광벤처 뉴스레터 2021.2 Newsletter